• 과목명

    행정학개론
    (Introduction to Public Administration)

    해설

    행정학 전반에 대한 이해의 증진 및 학문연구의 기초가 되는 행정학이론과 현대 행정의 중요 과제들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강의한다. 민주성, 능률성, 공익등과 같은 가치문제, 공공 정책의 입안 및 평가, 공공서비스의 전달체제 등 행정학의 주요 이슈에 대한 탐구를 통해 행정학의 현실접목을 시도할 수 있는 기본적 지식과 경험을 습득케 한다.

  • 과목명

    현대 시민교육이론
    (Civic Education)

    해설

    시민교육론은 어떤 국민이 국가에서 필요한가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시민과 시민성, 시민사회, 시민교육의 이해, 그리고 시민과 민주주의의 관계,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 등에 대하 교육을 함. 보다 구체적으로 정치, 인권, 소비자, 노동, 다문화, 미디어, 환경, 세계의 시민교육에 대해 지식을 제공함.

  • 과목명

    조직이론
    (Adminstrative Organization Theory)

    해설

    공공조직에 관한 기본이론을 소개한다. 즉 행정조직의 특성과 형태, 행정조직의 구조와 과정, 조직과 환경, 조직의 발전 등을 주로 다룬다.

  • 과목명

    지방자치론
    (Local Autonomy)

    해설

    지방자치에 관한 지식의 함양과 폭넓은 이해를 위해 우리나라와 외국의 지방자치전개과정을 살펴보고 지방자치의 조직과 운영, 자치권과 재정 및 주민참여 등을 공부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지방자치의 발전과 나아갈 방향에 관해 모색해 볼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과목명

    민법총론
    (General Civil Low)

    해설

    민법총론은 사람들이 사회생활을 영위함에 있어서 지켜야할 일반사법에 대한 것으로서 그 내용인 법인의 성질, 종류, 설립, 관리, 해산, 벌칙 등과 법률의 행위시 대리, 무효 및 격소, 조건 및 기한 등에 대해 개괄적으로 이해 및 학습함.

  • 과목명

    헌법총론
    (Introduction to the constitution)

    해설

    본 과목은 국민의 권리와 의무 그리고 통치기구의 조직과 작용에 관한 국가의 최고법이다. 본 과목은 헌법을 개괄적으로 알아보고, 국민의 기본권의 최대 보장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 과목명

    정책학
    (Public Policy Making)

    해설

    정책 및 정책형성과정 전반에 대한 이론과 정책학사, 정책학의 접근방법, 정책의 실제과정 등에 대해 이해를 하도록 한다.

  • 과목명

    행정법
    (Administrative Law)

    해설

    법은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서 꼭 필요한 사회질서 유지와 정의 실현을 위해 만들어진 최소한의 사회 규범이다. 따라서 우리와 멀리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 우리 생활 가까이에 존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더군다나 "행정법"은 우리의 일상 속에 활용되고 적용되고 녹아있는 아주 친근한 '법'이라고 할 수 있다. "행정법"이라 명명되어 지는 '법'이 따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의 생활 곳곳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로 '행정법'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본 과목은 행정법이 가지는 의미와 그에 따른 기본 이론들을 살펴봄으로써 다양한 행정현실 속에서 대처해 나가는 법을 배우고, 아울러 이들을 실제 생활에서 적용하는 방법 등을 익히는데 의의가 있다.

  • 과목명

    이 편한 경제이론
    (Economic Theory)

    해설

    이 편한 경제이론은 경제사상과 경제 학자들의 이념과 경제학의 핵심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개념과 원리를 정리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그리고 현실경제에 접목이 가능토록 이해 및 학습하도록 함.

  • 과목명

    현대 환경교육이론
    (Theory of Environmental Education)

    해설

    환경교육론은 환경의 개념과 환경에 대한 인식, 환경의 구조 즉, 수질, 폐기물, 토양, 해양 등의 환경구조, 국가의 환경정책, 그리고 국제환경협력과 시민사회운동과의 관계, 세계의 환경교육, 대중매체와 사회환경교육 등과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환경교육의 문제점 등을 교육한다.

  • 과목명

    재무행정론
    (Public Financial Administration)

    해설

    공공부문 물적 자원의 동원과 활용에 관해 학습한다. 즉, 자원의 동원방법, 자원배분의 기준, 예산담당기관, 예산의 종류 및 분류, 예산과정, 구매행정, 재정정책 등을 다룬다.

  • 과목명

    조사방법론
    (Methodesof social research)

    해설

    사회조사분석이나 행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필요한 과학적인 방법론과 여러 가지 연구절차, 개요 등을 학습한 후 실제로 조사를 시행하기 위한 연구방법을 설계하고 이에 따라 설문지를 작성하고 현장에서 조사를 시행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여 결과를 해석하는 포괄적인 사항을 익힌다.

  • 과목명

    경찰행정론
    (Police Administration)

    해설

    경찰행정학의 기초를 이루는 학과목으로서 경찰의 개념, 경찰의 이념, 경찰권의 발동 근거 및 한계 등을 학습하여 경찰행정학의 기초적 지식을 함양하는 한편 실질적 기관으로서의 경찰에 대한 이해를 돕는 과목이다.

  • 과목명

    공직자의 윤리의식
    (Ethics of Public Officials)

    해설

    공직자 윤리는 공직자의 도덕성과 근무자세에 대한 것으로서 그리고 국가 사회의 안정과 질서의 수준을 가늠하는 척도이기에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공직자는 많은 사회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다른 직업인 보다 더 높은 윤리규범 즉 공직을 우선하는 봉사정신과 부정부패의 척결 등 청렴결백에 대한 지식함양과 학습을 함.

  • 과목명

    한국행정의 역사
    (Theory of Environmental Education)

    해설

    환경교육론은 환경의 개념과 환경에 대한 인식, 환경의 구조 즉, 수질, 폐기물, 토양, 해양 등의 환경구조, 국가의 환경정책, 그리고 국제환경협력과 시민사회운동과의 관계, 세계의 환경교육, 대중매체와 사회환경교육 등과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환경교육의 문제점 등을 교육한다.

  • 과목명

    공직사회의 이해
    (Understanding of official Society)

    해설

    우리 사회 속에서 행정은 시대별로 그 역할을 다양하게 수행해 오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행정의 변화에 발맞춰 행정의 담당자인 공무원의 역할과 위상도 변화되었다. 이런 공무원의 변화에 따른 많은 주제가 시대의 상황에 맞춰 등장하고 있다. 본 학문은 이런 상황에 따른 엘리트론, 다원주의론, 능률과 형평 등등 행정과 정책을 담당하는 공무원과 관련한 공직사회의 이해에 대해 학습한다.

  • 과목명

    사무관리론
    (Office Management)

    해설

    정부부문은 민간부문에 비해 성격상 회이트칼라 지배적인 산업이다. 그만큼 사무관리의 중요성이 민간부문에 비해 높다고 하겠다. 본 과목은 공공부문의 사무구조와 특성, 사무효율화 방안 및 기법, 사무근로자의 동기부여방안, 사무환경론 등이 중점적으로 논의 된다. 공직에 입문하려는 학생이나 기존의 공직자가 필수적으로 이해하하여 실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 과목명

    인사행정론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해설

    공공부문 인적자원의 개발과 활용에 관해 학습한다. 인사행정 방법론, 인사행정 발달, 인사행정 기구, 공직의 분류, 채용, 보수, 공무원의 능력발전과 사기, 공직자의 윤리문제 등을 다루며, 학생들이 인사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훈련을 겸한다.

  • 과목명

    이야기로 듣는 한국사
    (Korean History)

    해설

    이야기로 듣는 한국사는 우리나라의 역대 국가와 관련 인물, 사건, 현대의 사건과 인물 그리고 사건, 문화 정치, 군사적 세력, 단체 등 역사적 사실과 이를 토대로한 숨어있는 역사에 대해 학습함.

  • 과목명

    행정개혁론
    (Reform of public Administration)

    해설

    본 교과목은 행정개혁 일반론부터 행정개혁의 정치적 성격과 행정개혁의 주체, 성공적 행정개혁 전략, 현대적 행정개혁 모형, 각국 정부의 행정개혁, 행정개혁의 성찰과 과제 등을 총망라하여 학습한다.

  • 과목명

    지도자론
    (Leadership)

    해설

    국내외의 사회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리더십의 의의와 조건, 핵심역량, 개발전략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고, 이를 사업전략이나 조직 운영에 통찰력 있게 연계시키는 실천역량의 기법을 학습하고자 한다. 또한 지도자 리더십개발에 필요한 능력은 무엇이며, 이러한 능력은 어떻게 개발해야 하는지의 방법을 연구한다.

  • 과목명

    정보화와 미래사회
    (Prospects Information society and future society)

    해설

    정보사회는 정보공유와 네트워크의 발달로 탈규격화, 다원화사회를 이루고 개인의 창의성에 기반한 개방과 소통의 확대를 지향하는 사회이며, 이는 사회는 미래 사회를 의미한다. 본 교과목은 지능화, 쌍방향 소통, 시공간의 초월, 융복합성, 실시간성 등의 미래 사회의 특성을 잘 인지하여 국민의 수요와 국가사회의 현안 등을 해결할 필수요소들에 대해 학습한다.

  • 과목명

    지역사회개발학
    (Theories on Community Development)

    해설

    지역사회개발학에 관련된 제이론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즉 지역사회개발학과의 개념, 특성, 역사, 대상 및 주요사례를 비교ㆍ연구한다.

  • 과목명

    미래행정학
    (Future of Public Administration)

    해설

    21세기 들어 인류사회는 문명사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이런 시대적 변화는 오늘날의 정부의 역할과 기능, 정부조직구조와 일하는 방식 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과목은 행정학의 이런 연구경향을 반영하여 특히 정부와 시장, 그리고 정부와 시민사회의 관계에 초점을 두어 논의를 전개하고 있으며, 행정학도와 기타 수강생들의 미래지향적 사고를 함양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 과목명

    국제교류학
    (International Relations)

    해설

    국제화 시대를 맞이하여 지방자치단체간 국제교류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국가들의 지방자치단체간 국제교류 사례를 분석하고 향후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국제교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또한 해외실습의 경험을 통하여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국제교류에 적용할 수 있는 전문기술, 지식, 개발방식 등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과목명

    새마을운동학
    (Theories of Saemaul Undong)

    해설

    새마을학의 기초이론과 학문적 특성 및 원용이론을 소개한다. 아울러 다양한 지역사회의 발전모델과 새마을학과의 관계도 비교ㆍ연구한다.

  • 과목명

    행정절차론
    (Administrative Procedure)

    해설

    행정절차론은 행정의사를 결정함에 있어외부와의 관계에서 거쳐야 하는 일련의 과정이라는 이론에 대한 지식과 그 결정과정에서의 행정조직내부에서 수행되는데 그치는 정차는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 등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고 지식을 함양함.

  • 과목명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Social Welfare Law and Practice)

    해설

    사회복지법제와 실천은 사회복지 서비스의 다양성과 욕구가 확대되고 있는 현실에 사회복지 서비스와 관련된 법규를 분석하고 연구함으로써 실정법상의 사회복지사업을 수행하는 부분에 도움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회복지법의 개념, 생존권 그리고 사회복지법제의 생성과정과 구조를 파악한 후, 사회복지 프로그램이 어떤 법제 아래서 실시되고 있는지 이해함으로써 실천분야의 응용능력을 높인다.

  • 과목명

    사회복지정책론
    (Social Welfare Policy)

    해설

    사회복지정책론은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사회복지정책과 인접 영역들(예컨대, 경제정책, 사회복지계획 및 사회복지 행정)과의 관계를 살펴보며 사회복지정책의 결과인 복지국가에 대해 이해하고, 사회복지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이데올로기들을 알아본다. 또 사회복지정책의 출현배경에 관한 사회복지정책이론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그리고 사회복지정책의 과정, 내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준거 틀을 알아보고, 그 분석틀에 의거해 현행 한국 사회복지정책과 그 문제점들을 분석한다.

  • 과목명

    헌법
    (Constitution)

    해설

    국민의 권리와 의무 그리고 통치기구의 조직과 작용에 관한 최고법인 헌법과 헌법에 기초한 지방의회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주민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하고 있는 지방자치법이다.

  • 과목명

    사회복지학개론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해설

    사회복지학개론은 전체 세 분야로 나누어 학습한다. 첫째, 사회복지의 전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사회복지 일반론, 둘째, 사회복지의 구현에 있어서 제기되는 방법론적인 측면의 사회복지방법론, 셋째, 세부적인 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사회복지분야론으로 구분하여 학습한다.

  • 과목명

    병원의료행정
    (Hospital and Medical Administration)

    해설

    본 교과목은 병원 의료 행정에 대한 전공 기초이론의 교재임. 따라서 본 내용은 보건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행정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보건건강과 행정에 대한 지식을 함양함을 목적으로 한다.

  • 과목명

    사회보장론
    (Social Security)

    해설

    사회보장론은 사회보장제도의 발달과 특성 및 이론적 검토를 통해 사회보장제도의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하고, 사회보험, 공공부조, 사회복지서비스, 사회복지 관련 정책 등을 통해 사회보장제도의 각론을 학습한다.

  • 과목명

    사회복지행정론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해설

    사회복지행정론은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사회복지 행정가로서의 기본적 자질과 기술을 습득하게 하고, 현행 우리나라 사회복지행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한다. 아울러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의 사회복지프로그램을 효과적, 효율적으로 개발하고 관리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함양시킨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요구조사 및 사정, 프로그램설계 및 계획기법, 전달체계, 개입전략 선택 및 자원동원, 프로그램평가 등에 관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시킨다.

  • 과목명

    통치기구론
    (Government organization theory)

    해설

    통치기구론이란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와 헌법재판소 그리고 지방자치 일반에 대한 전반적인 것을 다룬다.

  • 과목명

    행정법총론
    (Administrative Law)

    해설

    행정법을 크게 대별하면 행정작용법, 행정구제법과 행정조직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행정작용법은 다시 일반행정작용법과 특별행정작용법으로 구분된다. 행정법총론은 행정법에 관한 일반이론과 사법에 대한 행정법의 법적 특질과 함께 행정법의 편제 중 행정작용에 관한 일반적 법리를 탐구하는 일반행정작용법과 행정상 손해배상, 행정상 손실보상, 행정심판 및 행정소송법 등의 행정구제법을 그 중심적 내용으로 하여, 그에 관한 법리와 실정법규를 관련 판례와 함께 고찰한다.

  • 과목명

    전산회계원리
    (Accounting Principle Theory)

    해설

    본 과목은 재무적 성격을 가지는 거래나 사건을 화폐단위에 의하여 기록, 분류, 요약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는 기술이다. 그리고 회계란 정보이용자가 합리적 판단이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경제적 정보를 식별하고, 측정하여 전달하는 과정(화폐 실체에 관한 재무적 정보를 측정하고 전달하는 서비스 활동)을 의미한다. 이 내용을 기본으로 하여 전산회계원리에 대한 지식 함양을 목적으로 한다.

  • 과목명

    국방행정론
    (Defense Administrative Theory)

    해설

    본 과목은 리더의 양성에 필요한 과목임. 국방에 대한 이해도를 높임과 동시에 정부의 역할에 대한 폭넓은 이해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행정의 배경이 된 국방 행정에 대한 지식의 함양을 목적으로 한다.

  • 과목명

    사회복지시설운영론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 Facilities)

    해설

    사회복지시설의 개괄적 이해를 위해 사회복지법인에 대한 소개, 사회복지시설의 유형과 운영 내용 및 관리지침 등에 대해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 과목명

    사회서비스윤리와 철학
    (Ethics and the philosophy of social services)

    해설

    사회서비스는 역사상 핵심적인 가치인 사회정의,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 인간관계의 중요성, 성실성, 형평성 등 사회복지만의 목적과 관점의 기초가 된다. 사회서비스윤리와 철학 과목은 이러한 사회복지의 핵심적인 가치에 대한 지식의 습득과 차별, 억압, 빈곤 등의 사회적 불공정에 대해 대처하는 지식을 습득하고 개인의 잠재능력을 향상시킨다..

  • 과목명

    교정행정론
    (Theory of Correctional Administration)

    해설

    교정복지란 개별사회사업, 집단사회사업, 지역사회사업 등과 같은 기초적인 사회복지실천방법론을 활용하여 범죄인이나 비행청소년이 심리사회적으로 가장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회에 적응해 나갈 수 있도록 돕는 활동이다. 그러므로 본 과목은 범죄인의 재활을 위해 정상적이고 원칙적인 활동에 참여하려 하는 목적과 동시에 사회복지살천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익혀 범죄인과 비행청소년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을 필수적으로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과목명

    문화행정론
    (Theory of cultural administration)

    해설

    행정과 관련한 중요 고전이론인 국부론, 군주론, 목민심서 등등 고전이론의 소개 및 이해를 통해 행정의 이해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행정의 배경이 되었던 고전이론서의 강의를 통해 행정에 대한 지식의 함양을 목적으로 한다.

  • 과목명

    보건복지법제일반
    (Health welfare laws)

    해설

    본 과목은 헌법상 기본권 중에 사회권의 사회보장권 중에 하나인 보건권을 중심으로 보건학, 위생학과 보건법제에 관한 일반론을 다루는 과목이다.